본문 바로가기
영어 교육/Reading

비판적 문식성과 EFL 독해력 및 글쓰기 관련 논문 요약

by 내가누구게 2022. 5. 14.

출처: pixabay

 

Reading “Further and Beyond the Text”: Student perspectives of critical literacy in EFL reading and writing (part 2) 


Student perspectives of critical and conventional literacy learning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비판적 문식성을 통해 내포된 메세지를 발견하고 다양한 관점을 두루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그들의 독해력 및 글쓰기에 대한 동기부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들은 conventioanl literacy(해독, 읽기유창성, 독해력, 철자 및 글쓰기를 뜻함)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1. Critical literacy as conscious reading 

내포된 메세지 발견

-학습자들은 작가의 정치/종교적 소속과 겨냥된 독자층이 중요한 이유는 글의 목적 그리고 어떤 식으로 쓰였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때문이라는 것을 배움. 

-미사여구에 집중하기보단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파악에 포커스를 맞춤. 

-글을 그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닌 꿰뚫어 보며 수동적인 독자에서 능동적인 독자로 거듭남. 

 

다양한 관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것은 단순히 글의 내용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시사한 부분 외에 다른 관점의 존재와 가능성을 이해. 

-비판적 문식성을 통해 잘 설명된 부분보다 보여지지 않는 메세지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음으로서 꾸준한 독서와 글쓰기를 장려할 수 있음. 

 

2. Critical literacy as better comprehension 

-글을 이해 못 했을때 또 다른 입장에서 쓰인 글을 읽음으로써 한층 더 깊이 있는 분석과 탐구가 가능.

비판적인 입장에서 재독하였을 때 비교하고, 일반화하며 결론을 내는 것에 도움이 됨. 

-비판적 질문은 학습자들이 글의 내용을 샅샅이 보고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듦. 

-원어민이 대상이었던 다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영어학습자들에게 국한된 것일 수도 있으나 

Luke & Freebody(1999)의 독서 학습은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Text critic의 역할을 통해 code breaker, mean maker 그리고 text-user의 역할 또한 취할 수 있음을 주장함. 

 

3. Critical literacy as a reason to write 

-무엇을 써야 할지 갈피를 못 잡았던 학생들은 비판적 문식성을 통해 생각하는 연습을. 하게 되었고 다양한 관점 혹은 

자신의 생각이 담긴 풍부한 내용의 글을 쓰기 시작해 글쓰기에 재미를 붙이게 됨. 

-이데올로기로부터 중립성을 지키는 것은 어렵지만 학습자들이 명시적 가정이 가능한, 의식이 깨어있는 글을 쓰게끔 가르치는 것이 선생님의 역할. 

 

4. Balancing conventions and critical literacy 

-글쓰기 실력 향상: 문단과 에세이 형식 이해, 다른 장르의 글쓰기, self/peer 검토를 통한 글쓰기 과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됨.

-글쓰기에 대한 태도 변화: 두렵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글쓰기에 자신감이 생겼고 실력 향상을 돕는 동기부여로 작용. 

 

Benefiting from the dual focus 

-대만 영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실력 향상과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줌. 

이는 비판적 문식성은 서양의 문화적 가치에 의존해있지 않냐, 영어 학습이 우선인 그들에게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가르치는 것이 

과연 적절하냐는 의문을 제기했던 연구자들의 (Ricem 1998 and Eastman, 1998) 입장과는 상반됨. 

 

-학습자가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데 있어 진입 장벽이 꽤 높거나, 비판적 문식성보다 언어 학습 자체에 더 큰 적극성을 보이는 경우에는 

크리티컬 리터러시 적용 자체가 어려울 수 있음. 

 

-학습자들에게 conventioanl literacy는 critical literacy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이 인지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코스를 연구/계획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