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gotiating Critical Literacies by Barbara Comber
크리티컬 리터러시는 무언가를 수행하는 있어 필요한, 효과적인 언어의 사용을 뜻하며
비평적 문해력의 일부분인 텍스트 분석에 필요한 다섯가지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1. 특정한 텍스트가 어떻게 작용하는가?
2. 독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누가 어떤 상황에서 글을 썼으며 타깃독자는 누구인가?
4. 글에 빠진 부분은 무엇인가?
5.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다룰 수 있었겠는가?
*비판적 분석을 위해 초등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은 비판적 자세에 필요한 글, 그림, 만화, 영화를 검토 한 후
학생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두서없는 자료 제공을 한다. 저자는 학생들이 이미 알고있는 부분과 그들의 분석적인 능력을
발견하고 관여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Identifying and engaging children's analytical abilities
-초등학생들은 입학 전에도 가족과 공동체 생활을 통해 무엇이 공평하고 불공평한지 알고있으며
대중문화, 스포츠 등에서 다루는 권력과 선과 악에 대한 이야기에도 익숙하다. 다시 말해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통해
권력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많은 기회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이 또래, 가족, 혹은 혼자서 하는 역할극은
아이들이 생각하는 지위와 권력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영향력 있는 언어에 대한 '귀가 열려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교사는 많은 학생들이 TV와 video text에 익숙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 할 수 있다.
이를테면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광고를 재연해보고 분석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제품을 위한 광고 디자인 혹은 기존의 광고를 본인만의 솔직하고, 효과적이고, 재치있게 바꿔보는 활동으로
확장시켜볼 수 있다.
-학생들은 이미 알고있는 것에 대한 meta-awareness 그리고 meta-language를 발전시키고 이러한 것들을 텍스트와 학교 생활에
적용시키도록 돕는 것이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Examinging critical texts
-학생들은 그림책, 성차별적인 동화, 인종차별적인 새롱누 역사, 패러디, 만화 등 다양한 문학과 미디어를 접한다.
학생들이 대조적인 이야기/역사적 상황이 그려진 텍스트를 읽는 것과 비판적인 시각에서 쓰인 글을 읽는 것은,
모든 글을 중립적일 수 없으며 어떤 목표와 의도를 가진 특정 인물들을 통해 쓰인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비판적인 것은 재미없고 부정적이며 암울하다는 편견을 깨는 텍스트는 존재하며, 학생들이 비판적 토론에서 의미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어휘를 알 수 있게끔 만드는 라디오나 대중음악도 있다. 이러한 텍스트는 수업의 목표가 되어 글쓰기를 통해 다양한 장르를 실험해보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저자처럼 신문에 실린 만화, 불손한 엽서 등을 수집해 비판적 텍스트의 서재를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 일 수 있다.
단순히 웃어 넘기는 것이 아니라, 웃음을 끌어낼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토론해보아야 한다.
Acquiring and Using New Discursive Resources
-South Australia 교육자들은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언어 인식 향상을 위해 junk mail과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두고 생각하는 활동을 제시했다.
1. 무엇이 광고 되었는지 어떻게 아는가?
2. 어떤 소비자를 위한 제품인지 어떻게 아는가?
3. 광고 회사는 소비자들이 제품에 대한 어떤 생각을 갖길 바라는가?
4. 어떤 어휘나 그림을 통해 (3의 답변을) 알 수 있나?
5. 이러한 광고를 제작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학생들이 비판적 리터러시를 습득/연습/발명하도록 돕기 위해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학생들이 비판적인 자세로 조사하고, 원인을 분석하고, 어떤식으로 변화가 가능한지 고려해보고, 나아가
잘못 표현된 부분을 바로 잡는 글쓰기 활동이 필요하다.
e.g. Comber, Thomson & Wells (2001, forthcoming)의 프로젝트
7~8살의 아이들이 동네의 나무들 상태를 조사하고, 지도 보는 법을 배우고, 설문조사를 만들어 결과를 분석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에 팩스를 보냈으며 새로운 복지시설 및 도로로 디자인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동안
학생들은 정보를 얻고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중요한 textual practice를 시작하게 되었다.
<Teacher Stories>
Critical Conversation by Michael Muise
Kristen과 Todd가 스포츠 잡지를 두고 나눈 대화가 반 전체의 토론으로 이어짐. 여학생이 처음으로 꺼냈던 질문들:
섹시한 여자들이 해변에 누워있는 것과 스포츠느 어떤 연관이 있나? 수영복을 입은 야구, 하키, 축구 선수들은
어디에 있으며 어떤 독자를 위한 잡지인가?에 대한 토론하며 불편함 없이 서로의 이데올로기에 도전했던 이야기.
Re-thinking my classroom: A nike story by David Chiola-Nakai
Hockey Fever라는 책을 읽은 후 계급적 편견과 입고있는 옷을 보고 상대를 판단하는 것, 쿨한 옷, 그리고 누가 쿨한 옷의
기준을 결정하는지에 대한 토론을 하던 중 쿨한 브랜드로 알려진 나이키에 초점이 맞춰짐.
나이키 회사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 노동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된 학생들은 나이키 제품을 갖고 있는
재학생의 수를 알아내었고 다른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와 갑의 횡포에 대해 발표를 했다. 많은 학생들이 나이키 반대 포스터를 만들었으며
나이키 최고 경영자에게도 회사의 입장을 밝혀달라는 편지도 보냄. 책으로 시작된 대화가 권력과 소비자중심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졌던 이야기.
"One Tough Woman": Strategies to support and sustain critical conversations by Christine Leland & Jerome
비판적 대화를 유도하고 지속시키는 Post-it note strategy와 sketch to stretch를 소개하고 있다.
Post-it note strategy: 독서 후 포스트잇에 아래의 문장을 완성시키는 활동.
1) 내가 기억하고 싶은 중요한 부분은...
2) 글로 옮기고 싶은 중요한 부분은...
3) 이 책에서 여운이 길게 남을 부분은...
Sketch to Stretch: 학습자들이 스토리의 의미를 상징할 수 있게끔 유도하며 많은 sign system에 의미부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시킨다. 다른 sign system으로 바뀌는 과정을 transmediation 이라고 한다. 이러한 과정은 독창적인 해석을 넘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세계와의 교류를 돕는다.
Writing as a tool for change by Lee Heffernan
공평성 문제 뿐만 아니라 인종차별, 가난, 소비자중심주의에도 관심을 보인 학생들에게 교사는 독자들이 세계에 대해 생각해보게끔 만드는 글쓰기를 제안했다. 함께 읽었던 책들의 다른 목적/주제를 나열한 목록을 시작으로 학생들은 학교 문제들을 다룬 자신만의 독창적인 그림책을 만들었다. 교사는 비판적 리터러시 프로젝트는 타인에 대한 의식 뿐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을 높였다고 기록했다.
'영어 교육 > Rea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판적 문식성과 EFL 독해력 및 글쓰기 관련 논문 요약 (0) | 2022.05.14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