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5.11 - [영어 교육/Books] - 영어교육학 원서 - How languages are learned chapter 6 요약 (1)
영어교육학 원서 - How languages are learned chapter 6 요약 (1)
summary 1. Get it right from the beginning a) Grammar translation: 텍스트를 한 줄씩 읽은 후, TL -> 모국어 번역 -이해도 체크를 위해 모국어로 문제를 풀기 -텍스트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정 문법 규칙을..
english-is-fun.tistory.com
4. Get two for one
-특정 주제를 외국어로 배우는 것 (e.g. 대학원 영강)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Echevarria, Vogt, Short (2004): 내용과 언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장점 | 단점 |
a) 학습자들의 새로운 언어 노출 시간을 늘려줌 b) 내용 파악을 위해 언어 습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동기부여 및 의미있는 소통을 끌어냄 c) 기존 외국어 교실과는 달리 학습 내용이 cognitively challenging & 흥미로움 |
a) Cognitively challenging 한 학교 공부를 위한 언어 사용 전 5-7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함 (Cummins, 1984) b) 일상생활에서 큰 어려움 없이 소통하는 L2 학습자들도 수준 높은 언어적 정확도에 있어선 뒤쳐질 수 있음 |
5. Teach what is teachable
-Developmental feature: 일부의 언어구조 (e.g. 간단하거나 복잡한 문장의 어순) 예측 가능한 계발적 경로를 따른다는 연구 결과; 학습자의 internal 스케줄에 맞추는 것이 가장 좋으며 그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들을 가르치는 것이 이상적
-Stage 1 학습자들에게 Stage4 어순 패턴을 가르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은데, Stage 4에 도달하기 위해선 stage 2,3을 거쳐야 하기 때문- stage를 건너뛰는 것은 어려움 (Pienemann, 1988)
-Developmental readiness에 맞추어 지도를 하면 다음 단계로 발전할 수 있으나 여전히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 모국어가 L2 학습에 영향을 미침
-고로 학습자들이 L2 학습에 있어 발전 가능한 준비가 된 상태 -> 교육용 혹은 상호작용 input은 효과적 또는 input의 종류, 모국어의 영향은 학습자들의 발전 준비성과 연결될 수 있음
6. Get it right in the end
-Comprehension based, content-based, task-based 혹은 meaning focused instruction도 물론 중요하지만
focused instruction(FFI)까지 합쳐진다면 발전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는 가설
FFI: meatalinguistic 설명 혹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능숙한 발화자의 언어의 차이점을 notice해야 될 필요성을 강조
-Communicative & content based L2 프로그램 내에서 form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 (Norris and Ortega 2000; Spada 2011)
-교육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음. 고로 언어적 특징 관련 꾸준한 input이 필요함.
-Intensive ESL 프로그램 관련 연구 결과: 학습자의 모국어는 L2학습에 큰 영향을 미침; 오해의 소지가 있는 공통점이 있는 경우, 같은 모국어의 학습자들이 만드는 L1으로 인한 오류 -> 서로 오류라는 것을 인지 못할 수 있음.
-FFI & 교정적 피드백 -> 학습자 지식 & 문법적 특징 사용 향상
-교정적 피드백 관련 상반되는 연구 결과
a) 학습자들이 self-correction (prompts)하는 것이 올바르게 교정해주는 recast보다 더 효과적 (Lyster, 1994)
b) prompts 포함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보다 recast가 더 효과적 (Mackey & Goo, 2007)
다른 환경 (classroom VS lab)이 원인일 수 있음; lab에선 더 집중하여 피드백에 주목 할 수 있지만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content-based/communicative 수업/교실에선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함
-Teacher led 활동에서의 피드백보다 Student-led 대화 후 제공하는 피드백이 더 효과적 (Hunter, 2012)
-교정적 피드백과 oral production 관련 상반되는 연구 결과
다른 무엇보다 recasts가 효과적 (Li, 2010) VS prompts가 recasts보다 효과적 (Lyster & Saito, 2010)
-Isolated FFI VS Integrated FFI: 다른 타입의 L2 지식으로 이어짐
Isolated FFI-> Written grammar test Integrated FFI -> Oral communication task
-의미 & 형태의 *올바른 균형 이 잘 잡힌 활동이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부분
*학생들의 특성 (나이, metalinguistic sophistication, 배경, 경험, 동기부여, 목표 및 L1과 L2의 공통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L2 학습자들을 위해 교사가 할 수 있는/해야 될 것은?
-학생들의 무의식적인 오류를 교정
-같은 모국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의 공통적인 오류를 파악하여 L1 & L2의 Contrastive information을 제공
-그들의 언어 발달에 맞추어 언어 형태에 따른 언어 사용법을 제시
'영어 교육 >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원서 저렴하게 구입하기 (0) | 2022.05.11 |
---|---|
영어교육학 원서 - How languages are learned chapter 6 요약 (1) (0) | 2022.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