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교육/Listening

영어 듣기 관련 미신들

by 내가누구게 2022. 5. 10.

영어 청취 관련 잘못 알고 있는 6가지의 생각들

 

1. 듣기는 수동적이다? 

정보가 Sender(보내는 사람)으로부터 Receiver(받는이)에게 전달되는 과정이라는 개념 때문에 listening은 수동적 스킬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틀렸음. 

청취하는 사람의 역할은 들리는 내용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수동적인 스킬이 아님. 

청취란? 1) 소통하는 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응을 하고, 2) 듣는 사람의 이해/해석이 끊임 없이 진행되는 것 

발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이해하기 위해선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주위의 내용과 연관을 지어 메세지를 해석하는 것이 청취자의 역할. 

 

 

2. 듣기는 일방적인 소통이다? 

1번과 마찬가지고 speaker(발화자)가 청취자에게 내용이 전달된다는 개념 때문에 생긴 미신.

우리가 일방적으로 듣는 상황도 물론 있음. 가령 공항에서 "개똥이님 몇 번 게이트로 빨리 와주시기 바랍니다." 라던지 물건을 분실했을 때 어디로 찾으러 오라는 안내 방송을 들을 수도 있음. 그럴 땐 직접적으로 대화를 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일방적이다'라는 인식을 가질 수도 있지만 다른 상황들도 존재함. 

만만약 듣는 사람이 발화자와 친한 사이라면 대화가 꼬리에 꼬리를 물 수도 있음. 

주목적이 단순히 의미를 위한 청취라면 일방이지만, 듣는 이가 대화에 참여를 한다면 쌍방 혹은 (명 수가 늘어날수록) 그 이상의 소통도 가능.

 

 

3. 단순히 많이 듣기만 하면 된다? 

언어 학습에 있어서 듣기는 큰 역할을 하며 학자들은 말하기 연습을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일정 기간 동안 input을 쌓기를 권함.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발음, 억양, 강세 등에 익숙해질 수 있기 때문. 

하지만 단순히 많이 듣기만 하는 것 보다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음. 

일방적으로 듣는 상황이 아닌 경우, 들은 것을 잘 이해하지 못했을 때 아래와 같은 질문들을 통해 active listening이 가능함. 

"좀 더 크게 말해주실 수 있나요?"
"다시 한번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저는 이렇게 들었는데 제대로 이해했나요?" 

 

 

4. 듣기와 말하기는 별개?

언어에 대해 이야기를 이야기 할 때,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으로 나눠서 이야기 함. 

다른 형태/요구사항에 포커스를 맞춰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로 나눠 실력을 향상하는 건 도움이 됨.

예를 들어 교수님께 제출해야 될 에세이라면 글의 주제에 맞는 전문적인 용어들을 쓸 줄 알아야하며

읽기 좋은 에세이를 쓰는 전략을 공부해 writing 실력을 늘리는 경우도 있음. 

speaking 실력을 늘릴 때에도 교수님과 대화를 나눌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과 친구들과 소통할 때 사용 가능한 표현들을 배울 때도 있음. 그치만 큰 그림을 보면 네가지 스킬은 어떤 식으로든 연결되어 있음. 4가지를 잘 연결시켜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함. 특히 리스닝(input)과 스피킹(output)의 균형이 맞추는 것이 키포인트.  

 

 

 5. 리스닝은 원어민의 발음을 통해서만 연습해야 된다? 

비현실적이고 적절하지 않은 생각. 

비현실적인 이유: 영어는 우리의 모국어가 아니며 영어를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해선 원어민 수준의 스피킹 실력까진 필요하지 않음. 

부적절한 이유: 전 세계에서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영어권 나라의 원어민보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다양한 억양에 익숙해지는 것이 언어 습득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음.  

 

 

6. 들리는 모든 것을 이해해야 된다? 

완벽주의는 리스닝의 최대의 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어권 나라의 원어민들은 자연스러운 대화의 일부분에만 집중/이해한다고 함. 

일반적으로 들은 것을 잊어버리거나 많은 부분을 잘못 해석한다고 함. 고로 모국어가 아닌 언어를 

다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비현실적이고 불가능에 가까움. 

불필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정보라면 가볍게 듣고 넘길 수 있어야 함. 

특정 내용에 집중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함.

 

 

참고 문헌: Tips for teaching listening: a practical approach, Jack C. Richards & Anne Burns, Pearson

출처: pixabay

 

'영어 교육 > Liste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공부와 직청직해  (0) 2022.05.10

댓글